8월 13일 오전, 고양시에 시간당 100.5㎜에 달하는 폭우가 쏟아지며 도로와 주택, 철도까지 큰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주요 침수 지역과 교통 통제, 피해 상황, 그리고 시민 안전 수칙까지 한눈에 정리합니다.
저도 오늘 아침 출근길에 기습 호우로 인해 우산이 소용없을 정도의 비를 맞았습니다. 집 앞 도로가 순식간에 강처럼 변하는 모습을 보니, 재난이 결코 멀리 있는 일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이번 글에서는 고양시 폭우·침수 발생 개요, 교통·철도 운행 상황, 시의 대응, 안전 수칙을 사실 중심으로 전달합니다.
목차
1. 침수 발생 개요와 주요 지역
2025년 8월 13일 오전, 고양시 덕양구 현천동에 **직전 1시간 동안 100.5㎜**의 폭우가 쏟아졌으며, 하루 누적 강수량은 138㎜ 이상을 기록했습니다. 기상청은 덕양구를 포함한 경기 북부에 **호우경보**를 발령했습니다.
특히 풍동천 수위가 급격히 올라 **원당교에 홍수주의보**가 내려졌고, 저지대 주택가와 상가, 하천 인근 산책로가 물에 잠겼습니다. 일부 주택은 반지하까지 물이 들어차 가재도구와 가전제품이 피해를 입었습니다.
2. 교통·철도 운행 중단 현황
도로 침수로 인해 **지하차도 7곳 전면 통제**가 이뤄졌습니다. 시내 곳곳의 하천변 도로와 둔치 주차장 3곳도 출입이 막혔습니다. 또한, 침수 피해로 **경의중앙선 일산~수색 구간**과 **교외선 전 구간**의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습니다. 코레일은 복구 작업과 안전 점검 후 운행 재개 여부를 판단할 예정입니다.
3. 고양시의 대응과 방재 계획
고양시는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최고 단계로 가동**하고 전 공무원 비상근무에 돌입했습니다. 위험지역 216개 산책로, 둔치 주차장, 지하차도 등에 대한 선제적 통제가 실시됐습니다.
소방당국은 차량 침수로 고립된 운전자 4명을 구조했고, 비닐하우스 안에 고립된 농민 2명도 안전하게 대피시켰습니다. 시는 향후 3년간 1,425억 원 규모의 하수·배수 시설 확충 및 방재 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4. 시민을 위한 안전 행동 요령
- 호우경보 발령 시 불필요한 외출을 삼가고, 기상특보를 수시로 확인합니다.
- 침수 우려 지역(하천변, 지하차도, 저지대) 접근을 절대 피합니다.
- 차량 운행 시에는 물이 고인 도로 진입을 피하고, 우회로를 이용합니다.
- 대중교통 이용 시 운행 중단 여부를 사전에 확인하고 대체 수단을 준비합니다.
- 침수 피해 발생 시 즉시 119 또는 시청 재난안전상황실로 연락합니다.
5. 자주 묻는 질문(FAQ)
마무리
오늘 고양시 폭우와 침수 상황은 기후 변화로 인한 극한 강우가 더 이상 예외적인 사건이 아님을 보여줍니다. 재난 시 행동 요령과 대비책을 숙지하고, 안전을 최우선으로 지켜야 할 때입니다. 이번 사례가 더 많은 시민들에게 경각심을 주고, 도시 방재 인프라 강화의 필요성을 일깨우길 바랍니다.